[感想文] 日本(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影響 연구 / 日本(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22:37
본문
Download : 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영향 연구.hwp
3) 축지소극장 은 활동 기간 동안 84회의 정규 공연을 펼쳤으며4), 외국 작품과 일본의 창작 희곡을 포함하여 117편의 작품을 무대에 올려 일본 근대극 정립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1) 축지소극장 은 근대극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실천하는 극단의 명칭이면서, 그 당시 최고 수준의 무대 설비를 갖춘 사백 석 정도의 공연장 명칭이기도 했다. 1910년대 신파극의 시절과 1920년대의 토월회 를 거쳐,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 에 이르면 서구적 근대극을 전범으로 하는 신극운동이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된다.5) ...





[感想文] 日本(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影響 연구 / 日本(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영향 연구 김 재 석** 목 차...
Download : 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영향 연구.hwp( 14 )
설명
日本(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影響 연구 김 재 석** 목 차...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감상문 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영향 연구 / 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순서
다.
일본의 축지소극장 이 한국 연극에 미친 影響(영향) 연구 김 재 석** 목 차 1. 서 론 2. 일본적 근대극의 창출을 위한 책략 2.1. ‘단절과 이식’의 방법론 2.2. 연극의 experiment(실험)실로써 독립극단3. 축지소극장 식 방법론의 이입 3.1. 선험적 인식과 추체험(追體驗) 3.2. 근대극 공연의 상급文化(문화)화. 결 론. 서 론 한국의 근대극 성립에 관한 논의를 펴려면 축지소극장 (築地小劇場)과 반드시 만나게 된다. 그러한 흐름을 따라가노라면, 김우진·홍해성·유치진과 같은 당대의 주도적 연극인들과 만나게 되는데, 근대극에 대해 그들이 펼친 theory 적 주장과 공연 활동의 저편에 축지소극장 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기란 어렵지 않다. 축지소극장 은 ‘연극을 위하여’ ‘future(미래)를 위하여’ ‘민중을 위하여’ 존재한다는 목표2)를 세우고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일본의 축지소극장 은 1924년에 오사나이가오루(小山內薰)와 히지가타요시(土方 志)가 주축이 되어 건설하였다. 이른바 ‘개화’의 시기를 통과하면서 고전극(전통극)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연극이 모습을 드러내기 처음 한다. 1928년 오사나이가오루의 죽음 이후 극단 운영 방침과 연극에 대한 이념적 차이로 인하여, 1929년 4월 히자가타요시가 신축지극단 을 만들어 탈퇴하면서 실질적 활동을 마감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