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7:15본문
Download : .hwp
그러므로 순자의 사상은 따로 떨어져서 다뤄지기 보다는 서로를 연관시켜 볼 때 그의 사상을 더욱 잘 이해되어질 것이다. 이제 사람의 성은 태어나면서 이익을 좋아함 이 있다아 이에 따라 쟁탈이 생겨나고 사양이 없어진다. 순자의 시대는 오늘날 우리가 세기말 현상이라고 하는 것처럼 아주 어지러운 세상이었고 그래서 예(禮)의 중요성을 역설할 필요가 있었고 이러한 예(禮)의 중요성을 위해서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전제가 있어야 했다. 즉 성악설에 중점을 둠으로써 순자에 대한 비판이 많고 유가의 이단자라 불리워지게 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인간의 성품을 따르고, 인간의 감정에 따라가 버리면 반드시 서로 싸 우고 다툼이 생겨나 사회질서를 깨뜨리고 이치를 어지럽혀 난폭한 데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3. 대표적 사상
5) 제가(諸家)의 오류
순자의생애와 시대적 배경 순자의저서들 심성론 예악론 정명론 / (순자의 사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설명





순자의생애와 시대적 배경 순자의저서들 심성론 예악론 정명론
2) 예악론
순자와 맹자의 사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대조되는 것이 바로 인성론에 대한 견해일 것이다.
1. 순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4) 학(學)의 관념과 정명론(正名論)
Ⅰ. 머리말
Ⅲ. 맺음말 3. 순자의 대표적 사상
Download : .hwp( 63 )
순자의 사상 중 대표적인 사상으로 인성론, 예악론, 천론, 정명론 등이 있다아 하지만 우리가 흔히 접하는 순자의 사상은 아마도 인성론에서 다루는 성악설일 것이다.
2. 순자의 저서들
1) 심성론
3) 천 론(天 論)
3-1. 인성론 (心性論)
순자의 사상
Ⅱ. 본 말
순자의생애와 시대적 배경 순자의저서들 심성론 예악론 정명론 / (순자의 사상)
다. 태어나면서 귀와 눈의 욕 심을 가지고 있으며, 소리와 색깔을 좋아함이 있다아 이에 따라가므로 음란이 생겨나고 예의 文 理가 없어진다. 하지만 성악설을 알았다고 순자의 사상을 이해한 것은 아니다. 태어나면서 미워하고 싫어함이 있다아 이 에 따라 해치고 상하게 하는 일이 생겨나고 신의나 충실은 없어진다.
사람의 성품이 악하고 선한 것은 인위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