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태서문예신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1:34
본문
Download : [인문] 태서문예신보.hwp
타블로이드판, 8면이다. 초기에는 종합지의 성격을 띠고 문예작품 외에도 취미 기사를 실었으나 곧 문예지로 전환하였다.
[인문] 태서문예신보
[인문] 태서문예신보
인문,태서문예신보,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태서문예신보
①『태서문예신보』에 대해..
1918년 9월 창간되어1919년 2월 통권 16호로 종간되었다.
Download : [인문] 태서문예신보.hwp( 25 )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 [인문] 태서문예신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태서문예신보
다. 코넌 도일의 《충복》, 투르게네프의 《밀회》 등의 번역소설을 비롯하여 베를렌이나 구르몽 등의 프랑스 상징파 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introduction하였다. 이외에도 백대진의 《뉘우침》, 김억의 《봄은 간다》 등의 창작시와 《최근 태서문단》 《시형의 음률과 호흡》 등의 평론을 실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김억의 번역시와 시론은 한국 근대시 형성에 큰 effect을 끼쳤으며, 김억은 이 잡지에 발표한 번역시를 모아 1921년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인 《오뇌의 무도》를 펴냈다. 주로 시·소설·수필·시론·번역 작품이 수록되었으며, 김억·이일·장두철 등이 중심이 되어 서구 문예의 도입과 introduction에 주력하였다. 「…(skip)
순서
![[인문]%20태서문예신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83%9C%EC%84%9C%EB%AC%B8%EC%98%88%EC%8B%A0%EB%B3%B4_hwp_01.gif)
![[인문]%20태서문예신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83%9C%EC%84%9C%EB%AC%B8%EC%98%88%EC%8B%A0%EB%B3%B4_hwp_02.gif)
[인문] 태서문예신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창간호에서 `본보는 태서(서양)의 유명한 소설·시·산문·가곡·음악·미술·각본 등 일반 문예에 관한 기사를 문학대가의 붓으로 직접 본문으로부터 충실하게 번역하여 발행할 것`이라고 밝혔듯이 대부분 서구문학 작품과 사조에 관한 글을 실었다. 윤치호가 밝힌 창간사의 사설을 요약하면 서양의 저명한 문학작품과 예술 전반에 걸친 기사를 대중에 의해 원문에서 직접 번역한다는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잡지의 주요 내용은 창작시, 번역시, 창작 소설, 번안 소설, 외국 문학과 문단 사정이 introduction, 시론 등으로 되어 있다아 특히 주목할 것은 시와 해외시의 수입, introduction를 겸한 理論(이론)들이다. 발간 당시에는 종합지의 성격을 띠고 문예 작품 이외에도 취미 기사를 실었으나, 그 뒤 곧 문예지의 성격을 띠었다. 많은 번역시와 외국 시론의 introduction로 한국 근대문학 개화에 이바지하였다
② 창작배경
『태서문예신보』는 1918년 9월 26일 발행인 윤치호, 주간겸 편집인 장두철에 의하여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주간지로 1919년 2월 16일까지 약 5개월 동안 16호를 내었다.